작심 30일 자기계발 챌린지 17일차
추석 연휴의 마지막 날이 훌쩍 다가왔다. 일을 할 때는 그렇게 시간이 안 가는데 쉴 때는 시간이 너무 빨리 가는 것 같다. 오늘은 내일까지 보내줘야 하는 곡이 있어서 스트링, 패드 작업, 믹싱 작업을 해야 하니 사실상 쉬는 날이 아니긴 하지만, 그 외의 별도의 일정이 없다는 것은 나에게 여유로운 느낌을 주기에 충분했다. 오늘은 조금이라도 더 쉬기 위해, 그리고 열심히 음악 작업을 하기 위해 '나만의 작업 프로세스', '영상의 종류', '스토리텔링에 대하여' 이렇게 3개의 강의만 듣기로 했다.
첫 번째 '나만의 작업 프로세스' 강의에서는 용호수 강사님의 작업 프로세스에 대해서 설명해주신다. 음악의 경우에는 반주자로서, 작곡가로서도 활동해 봤기에 해당 일에 대한 요청이 들어왔을 때 어떤 식으로 진행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지만, 영상의 경우 현재 나는 지인에게 소개받은 작은 기업의 영상을 촬영하고, 편집하는 일을 하고 있어 그런 프로세스에 대해서 한 번도 생각해본 적도, 접해본 적이 없었다. 그런데 오늘 강의를 듣고 나서 보니 누구에게 배운 적은 없지만 용 호수 강사님의 마인드와 비슷하게 일을 진행하고 있었던 것 같다. 음악 작업 시에도 체계적인 계획보다 머릿속에서 나오는 것들을 즉흥적으로 진행하는 편이기에 영상일에서도 스토리보드, 기획안 같은 거를 작성하지 않고 현장에서 디렉션하면서 진행하는 편이다. 하지만 영상은 아직 기초가 부족한데 음악에서 했던 방식을 그대로 진행하니 여러 오류나 부족함이 발생하는 편이다. 스토리보드를 쓰는 연습도 나에게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용호 수강사님께서 소개해주시는 일의 진행 프로세스를 이용해서 다음 영상일에 적용해 봐야곘다.
두 번째 '영상의 종류'이다. 사실 이 강의에서는 아주 간단하게 한 가지만 이야기하는데, 영상을 너무 학문적으로 접근하지 않았으면 하는 강사님의 마음이 담겨있는 강의이다. '이런 종류의 영상을 찍을 거면 이렇게 진행해야 하고, 이렇게 찍어야 해!'라는 마인드셋은 지금도 새로 생겨나고 있는 다양하고 새로운 장르의 영상에 적용하기 어렵다. 그리고 이렇게 새로운 것들이 나오는 현상은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기에 우리도 충분히 그 마인드셋을 바꿔서 촬영 시 정형화된 방법이 아닌 개인의 독창적인 아이디어가 필요하다는 것에 크게 공감한다. 음악도 마찬가지이다. 상업음악에서는 지금 시기에 잘 먹히는 코드 진행, 멜로디 진행, 악기 구성 같은 공식 같은 것들이 있지만, 정말 음악을 즐기고 싶다면 이 그런 규칙이나 공식을 주로 이뤄 작곡하는 게 아닌 본인의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그런 것들을 붙이는 식으로 진행해야 한다.
마지막 '스토리텔링에 대하여' 강의에서는 영상 안에 내가 말하고 싶은 내용을 어떻게 담을지에 대해서 강사님께서 설명해주신다. 사실 영상이나 음악, 소설, 시 이 모든 예술작품은 적절한 진행과 기승전결이 있기에 사람들이 재미있어하고 다음 내용에 대한 기대를 갖게 된다. 음악에서도 verse - pre chorus - chorus 이런 식으로 진행하며 멜로디, 가사, 리듬, 다이내믹 등등 여러 부분이 세밀하게 변화하며 몰입감을 높여줄 수 있듯 영상도 비슷한 결을 갖는다.
오늘은 추석 연휴의 마지막 날. 이제 다음 쉬는 날은 크리스마스겠구나. 그날이 벌써 기다려진다.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